본문 바로가기
학생부종합전형

[학종준비법]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및 평가항목(요약)

by 웅쌤님 2019. 5. 27.

안녕하세요. 룽선생입니다.

 

요즘 학생부종합전형이 대세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학생부종합전형을 파헤쳐보고자 이렇게 글을 써내려갑니다. 오늘 소개할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글은 건국대 · 경희대 · 서울여대 · 연세대 · 중앙대 · 한국외대의 6개 대학 공동연구진이 복잡하게 널려있는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와 평가항목을 표준화한 내용입니다. 이는 6개 대학의 평가기준안에 포함된 각각의 평가요소의 설정배경, 개념정의, 개별 평가항목의 세부평가내용 및 적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어있습니다. 오늘 제시해드리는 내용은 6개 대학의 공동연과결과이기 때문에 해당 내용들이 타 대학에도 적용되는 표준안이 아닙니다. 실제로 해당 연구책자에서도 평가활용과정에서 대학마다의 가감이 있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으니 이를 주의하시고 개별 대학의 실제 평가에 대해서는 각 대학에 문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6개 대학의 공통평가기준안에 포함된 평가요소 "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하나의 평가요소는 세부 평가항목과 세부평가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에 반영합니다. 따라서 세부 평가항목을 개별적으로 정량평가 하는 것은 아니며, 학생부나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에 나타난 개개인의 활동이나 사실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세부평가내용에 따라 평가합니다. 하나의 활동이 여러 평가항목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세부평가내용이 모두 우수해야 그 해당 평가항목이 높게 평가되는 것도 아닙니다. 일반화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의 핵심입니다. 2016년 건국대 · 경희대 · 서울여대 · 연세대 · 중앙대 · 한국외대는 공동으로 대입전형 표준화 연구를 진행했고, 운영에 있어서 기준과, 용어활용에 있어서 표준화를 진행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학교마다 달랐던 서류평가의 요소들을 4가지(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로 통일하고, 명칭도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각 요소당 평가항목은 각 대학별 인재상에 맞춰 약간 다른 선택을 가능토록 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평가요소 첫 번째, 학업역량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